스킵네비게이션

  • 2022년도 간호인증평가 획득
  • YBM IT 국제대학교 MOS시험 온라인 접수처
  • 교육할인스토어 대학생들을 위한 특별한 혜택 특별한 가격!

Language

홍보실 Kookje University

Focus On


국제대학교 RISE사업단, ‘평택의 꿈, 꼬리명주나비와 함께 날다’ 성료

조회 27

입시홍보처

국제대학교 RISE사업단, ‘평택의 꿈, 꼬리명주나비와 함께 날다’ 성료

평택시 생태복원 비전 공유 및 꼬리명주나비 복원 프로젝트 선포지역사회 협력 다짐


국제대학교(총장 임지원)118() 오후 3, 국제대학교 창조관에서 평택의 꿈, 꼬리명주나비와 함께 날다선포식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경기도형 RISE(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사업의 일환으로,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드는 꼬리명주나비 복원 프로젝트를 공식화하고, 지역사회대학시민이 함께 환경 보전의 가치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꼬리명주나비 복원 비전 선포지역사회 협력의 장 열어

이날 선포식에는 정장선 평택시장, 이동현 평택대학교 총장, 임지원 국제대학교 총장, 평택시의회 이종원·최재영 시의원, 김산수 복지환경위원장, 장미혜 국제대학교 RISE사업단장, 오민영 평택시문화재단 지역문화본부장, 한승훈 주민자치협의회장 등 주요 인사와 지역 시민 약 300여 명이 참석했다.

 

국제대학교 RISE사업단은 이번 선포식을 통해 평택의 생태적 상징인 꼬리명주나비의 복원을 위한 체계적 연구 및 교육 연계사업 추진 의지를 밝혔다.

행사는 지속 가능한 생태도시 평택을 비전으로, 지역사회·대학·기관이 공동 실천하는 환경 협력체제 구축을 선언했다.

 

임지원 총장은 개회사에서 꼬리명주나비는 평택 자연의 순수성을 상징하는 존재라며 대학의 책임감을 바탕으로 과학적이고 지속 가능한 복원 프로젝트를 추진해 미래 세대에게 건강한 생태 환경을 물려주겠다고 말했다.

장미혜 RISE사업단장은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대학 중심 사업이 아닌 지역사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실천의 선도 모델이 될 것이라며 시민과 함께 생태적 가치를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생태와 예술의 융합시민이 함께 만든 특별한 문화축제

이번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꼬리명주나비의 비상을 주제로 한 생태 패션쇼 및 시민참여 전시 프로그램이었다.

한설희 교수의 기획으로 진행된 모델 패션쇼에는 국제대학교 평생교육원 시니어 모델, 문화예술콘텐츠학과 학생, K-55 미군 및 가족, 평택 시민이 함께 참여하여 노을과 쉐도우’, ‘아리아 드 모드등 자연과 나비를 주제로 한 무대를 선보였으며, 관객들의 큰 호응을 받았다.

또한, 행사장에는

평택시사신문의 자연환경 사진전,

평택자연연구소의 꼬리명주나비 생태사진전,

SK브로드밴드의 영상 콘텐츠 전시,

평택 어린이집 20개소의 친환경 교재교구 전시,

국제대학교·평택대학교 공동 작품전(그림책·도자예술·보자기 작품)

다채로운 전시 부스가 운영되어 지역민과 함께하는 문화교류의 장이 마련되었다.

 

시민의 응원이 있어야 나비는 다시 날개를 찾습니다

정장선 평택시장은 축사에서 꼬리명주나비 복원 프로젝트는 시민들의 참여와 응원이 있을 때 비로소 성공할 수 있는 사업이라며 나비가 많아진다는 것은 곧 평택의 환경이 건강하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사업을 함께 추진하는 국제대학교와 평택대학교의 헌신에 감사드리며, 두 대학의 협력이 평택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밝히는 원동력이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날 행사에서는 평택시 발전 및 지역대학 협력에 기여한 공로자와 경진대회 수상자에게 평택시장상, 국회의원상, 국제대학교 총장상이 수여되며 지역사회 참여의 의미를 더했다.

 

지역 밀착형 RISE 성공 모델로 확장

행사를 총괄 기획한 오경숙 국제대학교 평생교육원장은 이번 선포식은 시민, 지역대학, 지역단체가 함께 만들어낸 참여 중심의 지역공동체 모델이라며 앞으로도 평택의 미래를 시민과 함께 설계하는 평생교육형 RISE 사업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국제대학교는 이번 선포식을 계기로

꼬리명주나비 복원 프로젝트의 지속 추진,

생태·환경교육 프로그램 확대,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생태도시 평택실현을 위한 상생 모델 구축

등을 목표로 지역밀착형 RISE 사업의 대표 성공 사례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